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디폴트 값>이란 무슨 뜻일까요?

생활의 꿀팁

by p30s 2024. 1. 23. 14:45

본문

반응형

 

요즘 티비나 매체에서 디폴트 값이라는 단어를 종종 들어본적 있으실거에요. 잊을만하면 한번씩 툭툭 튀어나와서 도대체 디폴트 값이 무슨 뜻이지? 궁금한적 있으시다면 오늘 간단하게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린 바쁘고 길게 공부할 시간은 없으니까요. 그럼 바로 레쯔꼬! :)

 

 

 

디폴트 값

 

1. 디폴트 뜻

 

디폴트 값이란, 경제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채무자가 공사채나 은행 융자, 외채 등의 원리금 상환 만기일에 지불 채무를 이행할 수 없는 상태. 채무자가 민간 기업인 경우에는 경영 부진이나 도산 따위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채무자가 국가인 경우에는 전쟁, 혁명, 내란, 외화 준비의 고갈에 의한 지급 불능 따위가 그 원인이 됩니다.

 

한마디로, 디폴트는 "채무불이행" 이라는 뜻인데, 한마디로 "난 돈이 없어서 못 갚는다"는 뜻입니다.

이 디폴트가 발생했을때, 채권자가 제3자나 채무자에게 통보하는것을 "디폴트 선언"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default(디폴트)라고 합니다.

 

2. 디폴트 옵션 이란?

 

우리나라는 현재 노후 빈곤율이 높을 뿐 아니라, 방치된 퇴직금이 많다고 합니다. 퇴직금이 방치되다니 좀 의외인데요. 디폴트 옵션은 이 퇴직연금의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즉, 고객님의 DC, IRP 적립금이 방치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도입된 퇴직연금 제도입니다. 퇴직연금의 종류중 DC 또는 IRP가입자가 적립금 운용을 직접하기 어려운경우 근로자가 미리 정해둔 방식으로 금융사가 대신해서 퇴직연금 적립금을 관리해 주는 것을 뜻합니다. 정부에서는 방치된 자금을 디폴트 옵션을 시행함으로써,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적극적으로 수익률을 끌어올리게끔 하는 제도입니다.

  

3.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은, 2023년 7월 12일부터 의무화 되었습니다. 하지만 디폴트 옵션은 DC나 IRP일때만 가능합니다.

 

DB형 (확정급여형)
1.신입사원 같은 승진 기회가 많을 경우 추천 
2.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시는 분들 추천
3. 투자에 자신이 없다 하시는 분들 추천 
4. 임금 상승률이 높아질것으로 예상 하는 경우 추천 

DC형(확정기여형) 
1. 승진의 기회가 많이 없을 경우 추천 
2. 투자에 자신이 있다 추천
3. 수익성이 중요하다는 분 추천
4. 임금상승률이 더 이상 높지 않을 것이 예상 되는 경우 추천 
5. 목돈이 필요 할 것 같은 경우에는 중도지급이 가능한 DC 추천

 

 

☞ 퇴직연금 계산기 바로가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